diskpart imagex WINPE 사용 부팅불가 HDD 복구방법
WINPE
Windows 7 용 AIK (자동설치키트)
DISKPART
Imagex
ImageX 로 윈도우 통째로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 부팅할 수 있는 WinPE USB 만들기
이 글을 읽으시다보면, WinPE를 이용하여 부팅이 불가능한 HDD를 복구시키는 방법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분명 저 위에 있는 몇가지 명령어의 사용방법을 찾기 위해 제 블로그에 들어오셨을꺼라 생각됩니다.
이 포스팅의 가장 큰 목적은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7의 이미지를 통째로 하나의 이미지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DiskPark부분에서 파티션의 윈도우 부팅 영역이 날아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WINPE를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현재의 내 컴퓨터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Windows7 용 AIK 입니다.
아래 링크는 Windows7 용 AIK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입니다.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confirmation.aspx?id=5753
링크를 다운받으시면 약 1.6GB의 ISO파일이 보입니다.
Alzip이나 Ultra ISO를 이용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 압축을 해제하고 StartCD.EXE파일 실행합니다
- Windows AIK 설치 를 선택해서 설치합니다.
설치되고 난 후
cd 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
를 입력하여 폴더로 이동합니다.
컴퓨터에서 Copype.cmd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실제 명령어는 copype.cmd x86 c:\winpe_x86 로 입력하여 기본적인 WinPE파일을 지정 폴더에 복사합니다.
다음은 ImageX와 같은 추가 도구를 지정된 디렉터리에 복사합니다.
copy C:\program files\Windows AIK\Tools\x86\imagex.exe C:\winpe_x86\iso\
(ImageX 파일은 나중에 윈도우7의 복구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명령입니다. C: 드라이브를 WIM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ISO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Oscdimg 도구를 사용하여 이미지(.iso) 파일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cd 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
c:\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oscdimg -n –bc:\winpe_x86\etfsboot.com c:\winpe_x86\ISO c:\winpe_x86\winpe_x86.iso
이제 winpe-x86.iso파일을 USB메모리로 저장합니다.
저장된 USB 이미지로 부팅하면 부팅되지 않는 HDD/SSD를 복구할 준비가 완료된 것입니다.
ImageX 로 윈도우 통째로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 ImageX 사용법
Target Disk 압축하여 Wim 이미지 만들기
- imagex /Capture C: D:\WorkPC.wim "WorkPC" /Compress fast /Verify
C:드라이브의 전체 내용을 D:의 WorkPC.wim이라는 이름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라는 명령입니다.
뒤에 오는 "WorkPC"는 이미지 Label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 만들기는 아주 쉽게 끝났죠?
장 이제 만든 이미지를 압축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ImageX 로 윈도우 통째로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 ImageX로 복사 방법
ImageX를 이용하여 만든 WIM 파일을 디스크로 복사하기 전에 Diskpar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을 따라하시면 디스크를 모두 날리게 되므로 꼭~~~~!!! 주의하셔야 합니다.
?:> diskpart <- 윈도우 CMD (검은색 도스창)에서 Diskpar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list disk <-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물리적인 디스크를 보여줍니다.
select disk 1 <- disk 1에 설정된 disk를 선택합니다. (기본 C: 디스크는 보통 0번으로 지정됩니다. )
clean <-- Clean 명령은 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날려버리는 옵션입니다.
create partition primary <-- DOS의 Fdisk와 같이 Primary 파티션을 생성한다는 뜻입니다. (단독으로 하나의 파티션 생성)
select partition 1 <-- 디스크에 하나의 파티션만 만들었으므로 1번 파티션을 선택합니다.
active <-- 디스크를 활성화 시켜줍니다. (Fdisk의 Set Active와 동을)
format fs=ntfs quick <-- 말 그대로 포멧이겠죠? File System = NTFS와 빠른 포멧을 하라는 뜻입니다.
assign <-- 드라이브 명을 할당하라는 뜻입니다.(c: d: e: 이런것)
exit <-- 나갑니다.
위 diskpart 명령은 현재 설치된 디스크를 포멧하는 방법을 예제로 든 것입니다.
이 방법을 따라하시면 디스크를 모두 날리게 되므로 꼭~~~~!!! 주의하셔야 합니다.
===================================================================================
ImageX 로 윈도우 통째로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 -Deployment (이미지 복원 방법)
위에서 만든 WINPE_x86.ISO파일로 부팅 USB를 만들고 부팅후 커맨드창에서
imagex /apply ?:\WorkPC.wim 1 c:\ <--- ?: 드라이브 명은 변경될 수 있므로 ?로 표기하였습니다.
WIM파일이 들어있는 드라이브가 ? 드라이브가 되는 것입니다.
위의 DISKPART를 이용하여 디스크를 포멧 시킨 HDD/SSD가 C:가 되는 것입니다.
bcdedit /set {default} osdevice partition=c: <--- 집중1
bcdedit /set {default} device partition=c: <--- 집중2
라고 입력하면 새로운 디스크에 WorkPC.Wim 파일의 이미지가 통째로 넘어가서 윈도우가 부팅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집중1 과 집중2 를 조금만 자세하게 보시면,
주의집중 1에서 osdevice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이 문구는 파티션 C:를 OS디바이스로 설정한다는 뜻입니다.
주의집중 2에서도 마찬가지로 C:를 DEVICE로 설정한다는 문구 입니다.
이 부분은 컴퓨터 부팅시 디스크에 문제가 생겼을때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고 에러가 발생했을 때 Dislkpart를 실행하여 저 두줄을 실행하시면 왠만한 disk 에러는 해결될 것입니다. (블루스크린과는 다른 검은색 화면에서 I/O관련 에러시 해결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약간은 정신이 없네요~^^
잘 보시고 질문하시면 댓글로 답변해 드릴께요~^^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하는 시간에 자동으로 꺼지는 윈도우 자동종료 예약 명령어 "Shutdown" (0) | 2015.12.06 |
---|---|
CD없이 USB 메모리로 윈도우7 설치 방법 (0) | 2015.12.06 |
윈도우7 OPK - Sysprep (일명 만능고스트)방법 (0) | 2015.12.06 |
Win7 Win8.1 설치 USB 만들기 (가장 빠른 프로그램)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