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경제공부

분류 전체보기 +85

안녕하세요. 골드만(Goldman.ℏbar)입니다.

오늘부터 헤데라 관련된 뉴스를 하나씩 올릴려고 한동안 죽어있던 티스토리 블로그에 정말 오랜만에 로그인을 했습니다. 

 

왜 제목을 "트럼프가 24년 대선에 당선되면 한국에서 가장 먼저 투자하게 될 코인은?" 이라고 썼을까요?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 라고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미국은 종이화폐로를 찍어내면서 유지되던 달러의 힘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 을 잘 알고 있으시죠? 달러의 무한 발행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자산가치의 하락과 그 결과로 만들어진 금리인하의 정점에 다다른 제로금리까지 달러는 바닥을 찍고, 그래도 달러의 힘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쟁과 공포를 서슴없이 전세계에 뿌려대면서 미국의 힘을, 정확히는 달러의 힘을 놓지 않기 위해서 발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이라는 새로운 투자 자산?이 갑자기 나타나면서(갑자기 나타났을지, 누군가가 큰 그림을 그리고 의도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쩌면,.... 종이 달러의 박살난 기축 파워를 "디지털달러"로 전환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을 것이고, 그래서 미국은 점점 디지털 달러로 기축의 힘이 전환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불보듯 뻔한건 다들 알고 계시죠? 

 

디지털 달러는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CBDC 그리고 국가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 하면서 관리할 수 있는 스테이블 코인 이렇게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미국은 반드시 이 두가지를 정확하게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미국은 전세계 은행들을 관리하는 기관에서 이 디지털 달러를 제어 할 수 있게 만들 것입니다. 국제결제은행 BIS 그리고 국제금융협회IIF 이런 조직들이 디지털 달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금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국제결제은행국제금융협회는 하나로 연결된 상하부 조직입니다. 결국 달러를 전세계에 적절하게 분배하고 국제적인 금융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만든 조직입니다. 미국에서 만들었구요. 달러를 위해서 만들었겠죠~

 

 

 

 


 

Hedera Hashgraph Joins International Institute of Finance

Hedera Hashgraph's partnership with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Finance signals a significant step towards mainstream ado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www.cryptotimes.io

 

24년 8월 6일자로 The Crypto Times라는 해외 뉴스 사이트에 공식적으로 올라온 뉴스입니다.

 

제목 : 헤데라 해시그래프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 (IIF)에 가입

 

 

 

국제금융협회 IIF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멤버십 리스트를 찾아보면 아래 사진처럼 Hedera Hashgraph, LLC(United Stated)라고 보입니다. 

 

 

 IIF에 가입된 것만으로도 이미 HEDERA의 신뢰와 미래 가치는 논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고라프로젝트

한국에서도 국제결제은행BIS,  국제금융협회IIF와 함께 아고라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40개의 민간기관을 선정하고 "토큰화된 은행예금 및 도매용 CBDC를 활용해 국가간 지급결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미국, 영구, 일본, 프랑스, 스위스등 주요 5개국의 기축통화국을 포함하고 한국, 멕시코까지 7개국의 중앙은행과 민간기관이 참여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이 선정됐습니다. 

 

이 아고라 프로젝트에서 Hedera가 참여했다고 정확하게 표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헤데라의 Gorverning Council Member로 이미 신한은행이 참여했고, 간접적으로 헤데라 네트워크가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관계자의 언급이 있었습니다. 

 

UDPN(Universal Digital Payment Network)

UDPN은 글로벌 금융 기관들이(IIF에 가입된 금융기관들이겠죠?) 각 기업이 발행한 신뢰성 있는 스테이블 코인과 각국가의 CBDC를 통합하여  은행 및 기관과의 디지털화폐의 교환 및 거래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 네트워크로 Hedera의 Network를 사용합니다. 

 

 

국가별 비트코인 보유 갯수

-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미국이 가장 필요로한 디지털 달러의 필요성이 강조될 것이며, 미국은 비트코인 역시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것입니다. 그에 반해 한국은 어떤가요? 뒤죽박죽 어지러운 한국의 정치문제로 디지털자산과 비트코인에 대한 법과 제도는 뒷전입니다. 한국이 공식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의 갯수는 파악되지도 않고, 그냥 0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디지털달러와 디지털자산에 대한 정책을 확장해 나갈때, 한국은 무엇을 할수 있을까요? 비트코인을 모아야 겠죠? 또 금융기관 및 민간 기업은 어떤 디지털 자산을 투자할까요? 신뢰성있고, 기술력있고, 나라에서 인정받은 기술,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기술,, 전세계적으로 금융기관과 연계되어 사용되는 빠르고, 신뢰성있고, 보안이 철저한 기술.

아고라프로젝트UDPN과 같은 국가간 결제 네트워크를 테스트했던 국내 금융기관 및 민간기관에 종사하면서 참여했던 담당직원에서 부터 HEDERA에 존재가 알려지게 될것입니다. 

 

"헤데라는 확실한 투자 자산이 될거야"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위 내용을 토대로 아래부터는 ChatGPT에게 헤데라에 대해서 유도신문을 해서 헤데라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챗지피티 유도신문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ChatGPT에게 물어본 내용 원본을 텍스트로 붙여넣기 하였습니다)

 


 

 

Q : 안녕!

A: ChatGPT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가워요.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Q : 나는 블록체인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어

 
 
A: ChatGPT
멋지네요! 블록체인은 요즘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이죠. 혹시 특정 주제나 개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나요? 블록체인 기초부터 심화 개념까지 함께 이야기해볼 수 있어요.
 

 

Q : 여러가지 블록체인들을 공부하면서 실제 사용사례를 구축하고 있는 기술력이 좋고 정부나 금융권에서 사용할수 있는 기술들을 찾아보고 있어

 
 
A: ChatGPT
아주 좋은 접근이네요! 정부와 금융권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보안 강화, 거래 효율성 향상, 데이터 투명성 확보 등을 목표로 다양한 사례를 구축하고 있죠.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와 기술로는:
  1. 하이퍼레저 패브릭 (Hyperledger Fabric): IBM이 주도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금융권과 정부기관에서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구축에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여러 은행이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이용해 거래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2. 리플 (Ripple): 주로 은행 간 송금에 특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여러 글로벌 은행이 이를 채택해 빠르고 저렴한 해외 송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이더리움 (Ethereum): 스마트 계약 기능 덕분에 정부 기관에서도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는 이더리움 기반 솔루션으로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신뢰성 높은 공공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이나, 디지털 신원 확인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방안이 활발히 논의 중이에요. 특정 분야나 사례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고 싶으면 말씀해 주세요!

 

 

Q : BIS의 하부 기업인 IIF에 가입된 전세계 각국의 은행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블록체인 관련된 회사는 hedera hashgraph밖에 없더라구~

 
 
A: ChatGPT

맞아요, IIF(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에 가입된 많은 금융 기관과 글로벌 기업들이 있지만, 블록체인 기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표적인 회사로는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헤데라는 기존 블록체인과 다른 구조인 '해시그래프'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빠른 속도와 낮은 수수료, 높은 보안을 목표로 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어요.

헤데라 해시그래프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다수의 글로벌 대기업들이 헤데라 거버넌스 위원회(Governing Council)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글, IBM, 보잉, 도이치텔레콤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이 위원회에 가입하여 헤데라 네트워크의 운영을 분산적으로 관리하며, 이를 통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려고 하죠.

BIS와 IIF가 보유한 강력한 네트워크는 금융 시스템의 혁신과 안정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헤데라와 같은 프로젝트는 향후 디지털 금융 및 정부 서비스의 혁신적인 기반을 제공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 IIF와 한국은행, 그리고 한국의 다른 은행들이 함께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다른 나라들과의 CBDC 전송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뉴스에 나오더라고

 
A: ChatGPT

맞아요, IIF와 한국은행을 비롯한 여러 한국 은행이 참여한 아고라 프로젝트는 한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다른 나라의 CBDC와 연결해 국제 송금을 테스트하는 중요한 사례였습니다. 이는 CBDC의 상호 운용성을 검증하고, 디지털 화폐가 국경을 넘어 효율적으로 거래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실질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특히 아고라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나라와의 CBDC 송금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규제적 기반을 실험했어요. 이번 테스트의 성공은 향후 CBDC가 국제 금융 시스템에 실질적으로 도입될 가능성을 높여주고,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의 디지털화를 한층 가속화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CBDC의 글로벌 송금 테스트는 단순히 기술적 성과만이 아니라, 법적·규제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커서, 한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이러한 협업 프로젝트를 계속해서 확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Q : 헤데라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스테이블 코인과 CBDC를 통합해서 테스트 하는 것도 있던데? 혹시 알아?
 

A: ChatGPT

네, 헤데라 네트워크는 스테이블코인과 CBDC를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시범 사례로도 점차 주목받고 있습니다. 헤데라의 고속 처리 능력낮은 수수료, 보안성 덕분에 많은 중앙은행과 기업들이 이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 중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블코인과 CBDC의 상호 운용성을 테스트하는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어요. 이 테스트는 CBDC와 민간의 스테이블코인이 같은 네트워크에서 거래될 때 서로 원활하게 호환되고,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목표가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의 성과가 축적되면, 헤데라 해시그래프를 활용한 네트워크가 국가 간 송금, 실시간 결제 처리, 금융 포용성 확대 같은 다양한 금융 솔루션에 사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헤데라의 거버넌스 위원회에 속한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여 헤데라 해시그래프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만큼,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도 이 시스템을 통해 CBDC의 국제적 사용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Q : UDPN이라고 들어봤니?

 

A: ChatGPT

네, **UDPN(Universal Digital Payment Network)**에 대해서 들어봤습니다! UDPN은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자산을 상호 교환하고 송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예요. 이 네트워크는 특히 CBDC와 스테이블코인 간의 결제와 상호 운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UDPN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글로벌 통합 결제 시스템 구축: 여러 국가의 CBDC와 스테이블코인을 하나의 통합된 네트워크에서 운영함으로써 디지털 화폐의 교환과 거래를 더욱 쉽고 안전하게 만듭니다.
  • 비용 절감과 신속한 송금: 기존의 송금 시스템보다 훨씬 낮은 비용과 빠른 속도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합니다.
  • 은행 및 규제 기관과의 협력: 금융 기관, 규제 기관과 협력해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안전한 환경에서 운영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UDPN은 각국 중앙은행의 CBDC 및 주요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와 파트너십을 맺어 실험을 진행하는 등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의 중요한 축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Q : Udpn과 hedera의 관계는 어때?

 

A: ChatGPT

UDPN과 Hedera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헤데라 해시그래프가 UDPN의 주요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하나로 선택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UDPN은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된 다중 네트워크 구조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와 스테이블코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특히 Hedera의 높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신뢰성에 큰 가치를 두고 있어, 헤데라의 네트워크가 UDPN의 결제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UDPN이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블록체인과 협력할 때 헤데라의 기술력과 네트워크 성능이 스테이블코인 및 CBDC의 실시간 거래와 상호 운영성 보장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헤데라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거버넌스 구조를 갖추고 있어, 여러 글로벌 기업과 은행들이 UDPN 내에서 헤데라를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따라서, UDPN과 Hedera는 상호 보완적 관계로 볼 수 있으며, UDPN의 디지털 결제 생태계에서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오늘 포스팅의 핵심 키워드는 BIS , IIF, 아고라프로젝트, UDPN 

PS. 단타에 미쳐 잠못자고 두눈 뻘겋게 챠트만 보다가 우연찮게 이 글을 보신 투기꾼 분들은 봐도 이해를 못하시거나 관심이 없으실 테니~ 그냥 챠트에 선 그려서 언제 오르고 언제 팔고 지지선 저항선 도움 주시는 다른 글을 읽으시는게 시간도 아끼고 좋을 것 같습니다.

 

OAS 코인에 대해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만 정리를 해볼려고 합니다.

주저리 주저리 떠들어봐야 소용 없다는걸 잘 알고 있습니다. ㅎㅎ

 

하지만, 아마도 OAS에 관심이 있다는 것은 단순히 가격이 뛰어서 순식간에 돈을 벌겠구나? 라고 생각하는 분들은 아닐꺼라 생각하고 장깆거인 플렌으로 오아시스를 투자하기 위한 정보 공유, 스터디? 차원에서 OAS에 관련된 뉴스를 중심으로 스크린샷을 찍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오해가 없도록 제가 지금부터 설명하는 오아시스는 OAS 입니다. 

티커가 OAS인게 두개네요. 

아래 그림에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위에 있는 "Oasys" 입니다.

게임에 특화된 레이어 1 블록체인입니다.

 

 

 

 

 

 

8월 20일 현재

마켓 거래량 1위는 BitMart(미국 뉴욕)입니다.

얼마전까지 거의 대부분 한국의 빗썸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았으나

8월 19일 갑자기 비트마트가 빗썸을 이기고

현재 46%거래량으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3-4위에 있던 Bitget(싱가포르)이 2위로 올라왔습니다.  

 

 

2023년까지 7월까지는 관심도 없었고 조용하던 OAS가

8월이 되면서 부터 갑자기 뉴스가 터지면서

거래량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문위원회 및 파트너

Oasys는 업계 최고의 게임 개발자와

Web3 회사 및 조직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자문 위원회는 이러한 회사 및 조직의 대표자들로 구성됩니다.

Gabby Dizon , Play-to-Earn 게임 길드 Yield Guild Games의 공동 설립자.
나카타니 하지메 반다이 남코 리서치 회장. double jump.tokyo의 CEO
우에노 히로노부 .
Hironao Kunimitsu , 구미 설립자이자 Thirdverse CEO.
Shuji Utsumi ,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혁신가이자 PlayStation의 창립 멤버, Q Entertainment의 공동 창립자, 현재 SEGA CORPORATION의 공동 COO.

 

 

 

 

 

초기 검증인 리스트

Oasys는 세계 최고의 게임 개발자 및

블록체인 기술 회사의 21개 밸리데이터와 함께 출시됩니다. 

오아시스 메인넷 런칭 후 21개 이상의 기업이 검증인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SEGA, 반다이, 컴투스, 네오위즈, 넷마블, 위메이드, 유비소프트, YGG등 국내외 유수의 게임 업체들이 초기 검증자로 구성되어 있고 2023년에는 SBI와 넥슨등 대기업들이 투자자 및 검증자로 참여하였습니다. 

 

 

 

 

 

 

 

 

[[OAS 뉴스 다시보기]]

 

 

가장 접하기 쉬운 코인니스(COINNESS.COM)의 기사를 중심으로

OAS 관련된 기사가 어떻게 나오고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ASTAR 블록체인 검증자 참여

OAS 레이어1 블록체인 위에서 DeFi, NFT, DAO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아스타가 오아시스에 검증자로 합류되었습니다.

 

 

 

 

Astar는 싱가프로에 본사를 두는 일본 기업인 Stake Technologies에서 개발했으며

설립자는 Soto Watanabe입니다.

 

 

 

 

Oasys는 Oasys 아키텍처를 채택한 EVM 호환 프로토콜입니다. 

 

Hub-Layer, 확장성이 뛰어난 Layer 1 Hub-Layer와 

그리고 이더리움의 레이어 2 스케일링 솔루션을 사용하는 특별한 레이어 2인 Verse-Layer의 다중 계층 구조로 구성됩니다. 

 

 

 

 

 

 

비트플라이어 블록체인 검증자 참여

 

 

 

 

 

셀러네트워크 파트서십 체결

 

 

 

 

 

 

 

YGG재팬 전략적 파트서십 체결

 

 

 

 

 

 

 

NEXON 전략적 투자 유치

 

 

 

 

 

소프트뱅크 검증자 참여

 

 

 

 

 

 

SBI 암호화폐 사업부 파트너십 체결

 

 

 

 

 

 

KDDI 검증자 참여

 

 

 

 

 

 

NEXON 검증자 참여

 

 

 

 

MIXI 검증자 참여

 

 

 

 

 

 

 

NTT도코모 자회사 검증자 참여

 

 

 

 

 

 

COM2US UBISOFT 파트너십 체결

 

 

 

 

 

 

그 밖의 뉴스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개발한 즉시결제 서비스 제공업체 페드나우(FedNow)가 헤데라 해시그래프 기반 소액결제 플랫폼인 드롭(Dropp)을 서비스 제공업체로 편입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네트워크의 기본 통화 HBAR에 상당한 이익을 가져왔습니다.
헤데라는 사용자가 트랜잭션을 빠르고 저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해시그래프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공개 분산 원장으로 작동합니다.

최근 지원 통합을 통해 Dropp은 실시간 결제 및 즉시 결제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솔루션을 판매자에게 제공하여 실질적인 거래를 위해 고객 자금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FedNow 웹사이트는 "소액 구매의 디지털 경제"를 안내할 Dropp의 잠재력을 강조합니다 .

Sushil Prabhu 최고경영자(CEO)는 "소액결제의 개념은 90년대 후반부터 있었지만 지난 몇 년 동안 디지털 경제의 상당한 성장, 소비자 요구 및 기술 성숙도는 소액결제를 기술 및 경제 측면에서 실현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Dropp의 회장은 말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소액 결제 서비스를 원하는 은행, 금융 서비스 회사 및 기관은 FedNow를 통한 실시간 결제에 Hedera의 Dropp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헤데라는 전통적인 주요 금융 회사의 지원을 받는 FedNow로부터 간접적인 지원을 받습니다.

FedNow의 서비스 제공업체로 Dropp이 추가되면서 HBAR 가격이 급등하여 4개월 최고치인 $0.0659에 도달하고 16%의 가격 상승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Banked의 CEO인 Brad Goodall은 FedNow가 다른 즉시 결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관련 은행이 모두 등록되어야 하기 때문에 채택 및 도달 범위 측면에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일부 은행은 FedNow를 통해서만 돈을 받기로 선택하여 잠재력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FedNow는 다른 즉시 결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채택 및 도달 범위에서 상당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작동하려면 거래에 관련된 모든 은행이 등록되어야 합니다. 즉, 고객의 은행이 FedNow에 등록되어 있지만 수취인의 은행은 그렇지 않으면 거래를 할 수 없습니다. 미국과 같이 수많은 은행이 있는 국가에서 모든 은행이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입니다. 또한 현재 일부 은행은 구현이 더 쉬운 FedNow를 통해서만 돈을 받는 것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FedNow를 통해 돈을 보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이러한 제한은 시스템의 전체 잠재력을 방해합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노련한 핀테크 및 컨설팅 산업 기업가인 Goodall은 또한 암호화폐 산업에서 FedNow의 영향과 가맹점이 결제 흐름에 FedNow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FedNow와 같은 즉시 지불 시스템의 광범위한 채택은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위한 암호 화폐의 상대적 이점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IBT와 공유한 임원은 덧붙였습니다. FedNow를 둘러싼 구조, 규정, 암호화폐 시장의 진화하는 역학 관계."

Goodall은 가맹점이 결제 흐름에서 Fednow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가맹점은 즉시 결제에 FedNow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용 카드, 수표 또는 수동 은행 송금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결제 방법의 필요성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FedNow의 즉시 결제 기능은 또한 가맹점의 결제 시간이 빨라져 유동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 회사가 청구를 승인하고 FedNow를 통해 즉시 결제하는 것과 같은 사용 사례는 고객 만족도와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경영진은 미국의 결제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낙관하지만 FedNow를 확장하려면 미국 내 수많은 은행의 많은 노력과 채택이 필요할 것입니다.

"미국 결제 시스템은 더 많은 실시간 계정 대 계정 결제 방법을 통합하도록 발전할 것입니다. FedNow 및 RTP(실시간 결제)와 같은 시스템의 채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 더 많은 서로 다른 결제 방법이 공존하고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한 각각의 장점과 적합성에 따라 사용되는 다양한 결제 환경 그러나 FedNow를 확장하는 것은 엄청난 작업이며 필수 채택 및 미국의 막대한 은행 없이는 구달은 현재 시스템과 맞물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거래소 BTSE의 COO인 Jeff Mei는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에서 FedNow가 암호화폐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FedNow는 암호화폐,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동일한 약속을 제공하지만 사람들이 즉시 지불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고 24시간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라고 덧붙이기 전에 그는 덧붙였습니다. , FedNow는 미국 은행 간의 거래를 용이하게 하지만 나머지 세계의 미국 달러에 대한 액세스를 확장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FedNow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중앙 집중화되어 있습니다. 온체인에 존재하기 위해 스테이블 코인은 FedNow 출시로 인한 큰 영향 없이 성장하는 DeFi 부문에서 계속해서 거래를 지배하고 촉진할 것입니다."

BTSE의 글로벌 확장 및 전략 운영을 이끌고 있는 메이는 "FedNow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국 기관에 계정을 유지해야 하므로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에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한 가지 긍정적인 점은 "FedNow 출시를 통해 암호화폐 금융 분야의 혁신이 기존 기업에 개선 압력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항상 공개 경쟁의 이점입니다."

 

https://www.ibtimes.com/hbar-explodes-fednow-integrates-hedera-based-micropayment-partner-real-time-transactions-3708563

ChatGTP에게 물어봤습니다.

 

질문 : 대기업이 참여한 블록체인 기술중에서 하나의 국가에서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고 세계의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참여해서 진행하는 블록체인 업체가 어떤 업체인지 찾아주세요. 그리고 그 기업에서 채택한 블록체인 기술이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서 어떤 부분이 더 강력한지 대략적으로 비교해 주고, 미연방준비제도(FED) 와의 관련성과 USD M1 통화 CBDC 및 소매용 CBDC 모두 적용이 가능한 분산원장 기술이 어떤 프로젝트 인지 알려주세요.

 

 

영문 : Among the blockchain technologies that large companies participated in, please find a blockchain company that is not being carried out in one country and is being carried out by many countries and companies around the world. And give us a rough comparison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adopted by the company compared to other blockchains, and tell us about its relevance to the Federal Reserve and what kind of project is th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both USD M1 currency CBDC and retail CBDC.

 

 

 

 

 

 

ChatGTP가 답변한 내용입니다. 

답변 : 전 세계 여러 나라와 기업이 진행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업 중 하나가 리플(XRP)이다. 리플은 빠르고 안전한 국경 간 결제를 제공하는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전 세계의 많은 금융 기관과 은행들이 지불 절차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리플은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 비해 거래를 더 빠르고 확장성 있게 처리할 수 있는 XRP 원장 컨센서스 프로토콜이라는 독특한 컨센서스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리플은 금융 서비스 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 결제 프로세스를 현대화하려는 금융 기관 및 은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경우,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에 대한 관심과 탐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분산원장 기술이 이들의 구현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리플의 기술은 잠재적으로 M1 통화 CBDC와 소매 CBDC 모두에 적용될 수 있지만, 정확한 구현은 연방준비제도와 규제 환경의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반적으로 리플의 분산형 플랫폼과 금융 서비스 산업에 대한 집중은 국경 간 결제 솔루션을 구현하고 CBDC의 잠재력을 탐색하려는 국가와 기업에 관련 기술로 만든다.

 

 

영문 : One blockchain company that is being carried out by many countries and companies around the world is Ripple (XRP). Ripple is a decentralized blockchain platform that provides fast and secure cross-border payments. It is being used by many financial institutions and banks around the world to streamline their payment processes and reduce costs.

Compared to other blockchains, Ripple has a unique consensus mechanism called the XRP Ledger Consensus Protocol, which allows it to process transactions faster and with more scalability compared to other blockchain platform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Additionally, Ripple has a strong focus on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making it relevant f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banks looking to modernize their payment processes.

As for the Federal Reserv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and exploration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BDCs) and the role tha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can play in their implementation. Ripple's technology could potentially be applied to both USD M1 currency CBDC and retail CBDC, although the exact implementation would depend on the specific requirements and goals of the Federal Reserve and the regulatory environment.

Overall, Ripple's decentralized platform and focus on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make it a relevant technology for countries and companies looking to implement cross-border payments solutions and explore the potential of CBDCs.

 

 

 

 

 

접근이 어려워서 아마도 이 글을 올려도 사람들이 많이 못 할 것 같습니다. 

본인도 이 게임? M2E를 하기 위해서 오랜 시간 3-4개월을 어떻게 하는지 여기저기 해외 사이트나 디스코드, 텔레그램을 돌아다니면서 정보 동량을 하러 다녔었습니다. 

 

그렇게 했음에도... 이제 조금 이해되는 수준이기 때문에 현재 포스팅에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쏟아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면 댓글 달아드리겠습니다.

 

다음카페나 네이버카페에 활성화된 카페도 전무하고 정보를 찾으로면 무조건 디스코드에서 찾아봐야 합니다.

 

디스코드는 단체 화상대화 할때나 사용하는 것인 줄 알았던 꼰대인데... 여기에 엄청난 커뮤니티 그룹이 있었네요. 

 

 

일단 제가 멋도 모르고 시작해서 구한 신발입니다.

 

사실 step.app 사이트에 접속해서 FITFI를 구입하고 Staking.step.app에서 스테이킹하고 받은 루트박스로 얻은 신발입니다.

FITFI를 10,000개정도 스테이킹 했었는데... 운좋게 운동화가 2개가 나왔죠.

 

RUNNER가 필요했었는데... HIKER가 나와서 어쩔 수 없이 달릴때도 사용하고, 요즘은 날씨가 추워서 그냥 걷기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처럼 보석을 박아서 ACTIVITY와 RESISTANCE를 올렸습니다. 

1래벨 보석은 +10이 올라가고 2랩 보석은 +60씩 올라갑니다. 

3랩 4랩은 엄청많이 올라가지만, 신발가격보다 비쌉니다. 

 

지금 신발 가격은 대략 10,000~20,000FITFI정도 하네요. 

FITFI는 현재 빗썸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구입만 한다고 되는게 아니라, 엄청나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운동화도 사고 보석도 살수 있습니다.

그냥 대충해서 될 일이 아니라 설명이 너무 힘듭니다. ㅎㅎ

 

간략하게 말로 설명하자면... 

 

PC나 모바일에 메타마스크도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메타마스크에 아발란체 지갑과, FITFI 지갑도 생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스탭엡 사이트에서 브릿지를 통해서 빗썸에서 구입한 아발란체 네트워크용 FITFI를 FITFI 메인넷용 FITFI로 바꿔줘야 합니다. 

이게 뭔 쌉소리냐 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이해와 스왑, 전송등의 이해가 있어야만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2022년부터 굉장히 활성화되었던 STEPN보다도 더 복잡합니다. 

스태픈은 거의 개박살 나서....... 400만원을 투자했는데... 지금 그냥 0원이나 다름 없게 바뀌었네요... 

 

 

 

 

 

 

 

아래 이미지는 신발을 판매하는 MARKETPLACE라고 해야될까요?

많은 사람들이 올려 놓은 신발입니다. 

 

여기서 신발을 살 수 있습니다. (아까 빗썸에서 구입한 fitfi를 변환하고 어쩌고 해서 web.step.app 지갑으로 옮겨서 Wallet 에서 Spending으로 옮긴 다음에 실제 게임 화면에서 신발을 구입할 수 있는 것이죠..... 아놔~ 말로 쓰는것도 너무 복잡하네욯ㅎ)

 

일단 신발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느리게 걷는 WALK

조금 빠르게 걷는 HIKER

달리기용 RUNNER

그리고 올터레인 타입의 COACH가 있습니다. 

코치는 워커와 러너 모두 사용이 가능하므로 당연히 코치가 가장 비싼 신발입니다.

하지만, 아직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아서 거래 가격은 거의 차이가 없네요

 

신발에서 가장 중요한건. 

 

A. B. L. R 이겁니다. 

A - Activity =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뛸때 보상받는 KC의 양을 좌우합니다. (보상은 KC로 받습니다.)

B - Balance = 이건 잘 모르겠지만, 나중에 신발을 BURNNIG해서 KC로 변환할때 B수치가 높으면 KC를 많이 받습니다.

L - LUCK = 이건 스태픈의 그 럭키입니다. L 수치가 높으면 운동이 끝난 후에 보너스 상자의 레벨이 높은 것을 받을 수 있습니다. 

R - RESISTANCE = 저항력? 여튼... 신발을 신고 운동을 하면 보상을 주는데.. R값이 낮으면 보상보다 수리비가 더 많이 나옵니다.

 

처음에 뭔지도 모르고 했다가 보상이 5KC가 들어왔는데. 수리비가 4.5KC가 들어서 혼자서 빡치고 열받았었는데. ㅎㅎㅎ

R수치를 늘리고 보니까 수리비가 많이 안들더라구요. 사람은 좀 배워야 합니다.ㅎㅎㅎ

 

그리고 신발도 급이 있습니다.

신발 종류와, RANK 아래쪽에 

GENESIS A 라고 써있는 것과 EDITION MM 라고 써있는 것, 그리고 아무것도 안써있고

그냥 MINT PRICE -19% 이런식으로 써잇는게 있습니다. 

 

각각의 알파벳 마다 부여되는 값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스탭앱 하실려는 분들중에서

 

위 말이 이해가 가시는 분들이라면, 

아마도 한국 사이트에 정보가 없어서 여기저기 검색하시면서 다니시는 분일 것 같네요.

이 글까지 찾아 오시느라 얼마나 스트레스가 많으신가요? ㅎㅎ

 

카페하나 만들어서 누가 좀 해줬으면 좋겠네요. 

전 가난한 HIKER라서 스테이킹해서 받은 신발로 그냥저냥 열심히 KC 채굴하면서 하루하루 보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신발 하나를 쉘브에 넣었고, (BASE 25짜리) 나중에 또 신발이 저렴해지면 하나 더 넣을 생각입니다. 

수익이 좀더 좋아진다고 합니다. 

하루에 MAX 22에너지 소비하고 약 10KCal를 보상으로 받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4~5Kcal이 실제 수익이죠. 

 

전 귀찮아서 25까지는 한방에 랩업시켰구요. 보석도 한꺼번에 사서 박았습니다.

22에너지를 써서 그런가 운동이 끝나고 나면 4랩짜리 미스터리박스도 자주 나오네요.

 

 

 

 

 

 

 

앱 설치할때 추천인 코드 넣으면 모두에게 좋은건 아시죠?^^

45BC2F2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댓글로 문의해 주세요~

 

네~ 있습니다.

아주 쉽습니다.

 

FITFI를 스테이킹해야 ROOTBOX를 받을 수 있고, 루트박스를 받아야 NFT로 신발을 받을 수 있다고 하기에~ 정보가 빠르신 분들은 지금 아마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아발란체를 메타마스크로 옮기고 FITFI 코인을 메타마스크에 수동으로 등록해서 AVAX를 FITFI로 스왑하는 방법을 이미 진행하셨을 겁니다. 

 

 

요즘 핫한 STEP.APP에서 FITFI를 스테이킹 하기위해서 STAKING.STEP.APP 사이트에 접속하면~

 

스텝앱 스테이킹 사이트에 접속하면 메타마스크에 연결할때 PC버전 메타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발란체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추가해줍니다.  

 

그런데~ 혹시 모바일버전 메타마스크에서도 아발란체 네트워크를 추가해서 내 자산을 확인할 수 없을까?

아마 저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되서 간단하게만 올리겠습니다. 

 

|중요|

모바일용 메타마스크에 아발란체 네트워크 추가해도 Staking.step.app 에 접속해서 FITFI 스테이킹 상황을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ㅎㅎㅎ 저는 이걸 확인할려고 아발란첸 네트워크를 추가한건데.... 정작 모바일용에서는 아직 지원을 안해주네요~ 

저와 같은 목적으로 이 블로그를 보시는 경우에는 그냥 참고용으로만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아~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사진편집할려니까 

답답하네요.

 

 

 

일반 모바일용 메타마스크를 실행합니다. 

아래의 왼쪽 이미지에 [설정] 을 눌러주세요.

그다음 오른쪽 이미지에 [네트워크 | 맞춤형 RPC......어쩌구....] 를 눌러주세요

 

 

 

아래 왼쪽 이미지에서 [네트워크 추가]를 눌러주세요

오른쪽 화면처럼 빈칸이 있는 화면이 뜹니다. 

 

 

그 칸에 아래에 있는 아발란체 c-chain 네트워크의 기본 정보를 넣어주세요

 

네트워크 이름 : Avalanche Network
새 RPC Url: https://api.avax.network/ext/bc/C/rpc
체인 ID: 43114
통화 기호(선택 사항) : AVAX

블록 탐색이 URL은 선택사항이므로 넣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추가]버튼 누르시면 끝.

쉽죠?

 

모바일 메타마스크에서 아발란체 네트워크 또는 이와 유사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네트워크, 폴리곤 네트워크 등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찾아보시면 각각의 네트워크에 맞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애플 애널리스트] Ming Chi Kuo는 2021년 8월 29일 오전 7시(미국현지시간) Apple 투자자들을 위한 흥미로운 메모를 발표했는데요, 이는 곧 출시될 iPhone 13 사용자는 4G/5G 기지국 범위 내에 있지 않더라구 메시지를 보내고 전화를 걸수 있다고 합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iPhone 13이 저궤도위성통신(LEO) 기능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점을 추측하여 발표한 내용입니다.


Bloomberg 는 2019년에 언급한 내용(인공위성을 사용하여 아이폰 및 기타 apple 장치와 직접 데이트를 전송하는 방법을 연구)에서 위성 기술을 사용하여 iPhone 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Apple의 조사를 처음 보고했습니다 . 그러나 이 기능이 2021년 iPhone 13 라인업의 일부로 제공된다는 소식을 들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밍치궈는 미래에 LEO 위성 통신이 곧 출시될 Apple AR 헤드셋, Apple Car 및 기타 사물 인터넷 액세서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추측합니다.

밍치궈는 iPhone 13이 Qualcomm X60 베이스밴드 모뎀 칩의 맞춤형 버전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칩은 위성을 통한 통신을 지원합니다.

위성을 통한 메시지 전송 및 전화 걸기가 iMessage 및 FaceTime과 같은 Apple 서비스에서만 작동하는지 또는 Apple이 다른 쪽 끝에 있는 표준 기지국으로 위성 통신을 프록시할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현재 Apple이 9월에 iPhone 13 라인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전화기는 화면 크기와 폼 팩터 면에서 기존 iPhone 12 라인업과 대체로 유사합니다. 기대되는 새로운 기능에는 카메라 시스템 업그레이드, Pro 모델용 고주사율 디스플레이, 더 작은 디스플레이 노치 등이 있습니다.


출처 : 9to5mac.com

 

 

 

Dentons? 덴튼스? 덴튼스란

 

덴튼스(Dentons)는 75개 이상의 국가에서 인재를 세계의 도전과 기회에 연결하는 세계 최대의 로펌입니다.

 

Dentons의 법률 및 비즈니스 솔루션은 Nextlaw, Dentons의 혁신 및 전략적 자문 서비스를 포함하여 우리 커뮤니티의 깊은 뿌리와 수상 경력에 빛나는 클라이언트 서비스의 발전으로부터 혜택을 받습니다. 

 

Dentons의 다중심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접근 방식, 포용과 다양성에 대한 헌신, 세계적 수준의 인재는 현상유지에 도전하여 New Dynamic에서 고객과 커뮤니티의 이익을 발전시킵니다. 

 

자세한 내용은 www.dentons.com을 방문하십시오. 

 

핵심 본문

 

Dentons는 카운슬 멤버십을 활용하여 DLT에 대한 전문 지식을 구축하는 동시에 자산 토큰 화, 자금 조달 및 스마트 법률 계약 배포에서 Hedera Hashgraph의 사용 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텍사스 주 댈러스 – 2020 년 12 월 10 일 – 엔터프라이즈 급 분산 원장 인 Hedera Hashgraph가 Dentons를 Hedera Governing Council의 최신 회원으로 발표했습니다. 공공 원장을 위한 가장 분산된 거버넌스 모델로 설계된 이 위원회에는 다양한 산업과 지역을 반영하는 총 39 개의 매우 다양한 기업과 조직이 포함됩니다.


Hedera Hashgraph의 CEO이자 공동 창립자인 Mance Harmo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Dentons가 Hedera Governing Council에 합류하여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다른 최고 기업들과 함께하게 되어 기쁩니다. 법률 및 규제 문제의 글로벌 리더로서 이러한 움직임은 고객이 분산 원장 기술 (DLT)의 채택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다국적 기업의 또 다른 예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 파트너십이 제공할 공간에 대한 전문 지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16 번째 위원회 회원인 Denton는 Avery Dennison, Boeing, Deutsche Telekom, DLA Piper, FIS (WorldPay), Google, IBM, LG Electronics, Magalu, Nomura, Swirlds, Tata Communications, University College를 포함한 대기업 네트워크에 합류했습니다.

 

런던 (UCL), Wipro 및 Zain Group. Dentons는 법률 업계에서 두 번째로 위원회의 구성원으로, 현장에서 위원회의 대표성을 강화했습니다.
Hedera Governing Council의 구성원은 최대 2 년 연속 3 년 기간 동안 전략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모두 지도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다양성과 탈 중앙화를 보장합니다. Hedera의 노드 정책 및 코드 베이스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구성원이 기여하고 승인하여 포크 위험을 제거하고 사용자를 보호하며 Hedera 네트워크의 무결성을 보존하는 거버넌스 모델을 지원합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Dentons Partner이자 Hedera Hashgraph Governing Council의 초기 대표 인 Fintech 변호사 Kenneth Oh는 “Dentons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다 중심 글로벌 로펌입니다. 단일 본사나 지배적인 문화가 없지만 75 개국의 회원 로펌과 함께 지리, 언어 및 국적면에서 다양한 면에서 Dentons의 Polycentric ™ 비즈니스 모델은 근본적으로 DLT 고유의 가치와 일치합니다.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지역의 뉘앙스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성을 활용합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고객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에 혁신적이고 고객 중심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Dentons의 DLT 팀은 Hedera와의 협력을 모색할 것입니다. 협업을 위해 식별된 초기 영역에는 자산 토큰 화를 위해 Hedera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객의 기금 모금 활동을 지원하고 특히 토큰 화 된 자산과 관련하여 스마트 법률 계약 개발 및 배포 (싱가포르를 관할권 테스트 베드)가 포함됩니다.


Harmon은“COVID-19가 일상적인 비즈니스를 재정의하는 디지털 전환을 촉진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Dentons를 Hedera Governing Council에 추가함으로써 양 당사자는 DLT를 통해 법률 산업을 계속 변화시킬 수 있으며 DLT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혁신을 보장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역학 속에서 번창할 수 있는 길을 열 것입니다.”

 

 

Hedera 정보

Hedera는 개발자가 거의 실시간으로 최종적으로 안전하고 공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분산 형 공용 네트워크입니다. 이 플랫폼은 Avery Dennison, Boeing, Deutsche Telekom, DLA Piper, FIS (WorldPay), Google, IBM, LG Electronics, Magalu, Nomura, Swirlds, Tata Communications, University College London 등 세계 유수의 조직 협의회가 소유하고 관리합니다. (UCL), Wipro 및 Zain Group.

 

 

 

자세한 내용은 www.hedera.com을 방문하거나 Twitter ( @hashgraph) , Telegram ( t.me/hederahashgraph ) 또는 Discord ( www.hedera.com/discord) 를 팔로우하십시오 . Hedera 백서는 www.hedera.com/papers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후오비 글로벌에서 후오비 스테이블 코인인 HUSD로 거래할 수 있는 코인을 추가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NEO, ONT, QTUM, 그리고 IOST까지..... 

네오, 온톨로지, 퀀텀은 아주 오래되고 중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커런시로 자리잡고 있는 코인입니다. 

하지만 갑자기 쌩뚱맞게 왜 IOST의 거래쌍이 시작됐을까요? 

 

점점 IOST가 수면위로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도 빨리 IOST의 기술이 적용되는 비즈니스 사례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은 투자보다는 투기에 열폭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기술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어서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IOST의 한국 대표 커뮤니티에서도 이렇다할 활동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게 참 아쉽구요~

 

 

IOST......... 중국에서 일반인들이 디지털자산 투자가 시작되면 아마도 2017년도 한국의 김치프리미엄의 몇배되는 폭발적인 돈의 움직임이 나올것 같지 않으신가요? 

 

잠시 행복한 상상을 해보시죠~^^

 

 

 

 

 

 

참고로 오늘날짜 코인마켓 캡 - IOST의 순위는 109위 입니다. 
시가총액은  910억으로 몇일전 1000억원 초반보다 많이 줄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Z털이었습니다.



독일의 보안회사가 IOTA 실용화 서비스를 발표했습니다. 




    이 기술 회사인 Accessec은 독일에 본사를 둔 보안 회사로, 최근 자동차들이 MIOTA 토큰을 이용해 연료나 충전 서비스를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차량 기반 지갑을 발표했다.

    지난 주 보안업체는 차량에 통합된 신형 카월렛을 대중에게 선보였다. 이 지갑은 연료 또는 기타 차량 관련 서비스를 구입할 때 자동으로 판매 지점 단말기와 상호 작용한다. 이 지갑은 배터리 포인트로 충전을 시작하고 가맹점에게 직접 지불해야 할 금액을 승인하는 등의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Sven Feuchtmüller의 연구 컨설턴트는 드라이버는 두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상호 작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물리적으로 가까운지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고 말했다. Feuchtmüeller는 Crypto Briefing에 이메일을 보내면서 "자동차 충전소 예시에서는 단순히 역 쪽으로 운전해서 충전기를 꽂을 수 있다... 승인과 지불은 뒤에서 당신의 차가 자동으로 하게 될 겁니다."
    자동차 지갑은 탱글 메인넷을 기반으로 하고 MIOTA 토큰을 이용해 상인들에게 가치를 전할 예정이다. IOTA 재단의 공동 설립자인 도미니크 셰이너는 이 회사가 이 소식에 "매우 흥분하고 있으며 생태계에 가져올 수 있는 혜택은 무한하다고 말했다. 이 말을 계속 이어나가면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IOTA를 기반으로 실제 제품을 만들고 있는 Accessec과 같은 회사들은 우리가 산업에서 IOTA의 채택과 중요성을 가속화하고 모든 산업의 기업들이 IOTA 제공에서 가치를 더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보안업체는 이 기술에 관심을 표명한 회사나 자동차 제조업체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

    Accessec은 또한 지난 해 8월에 있었던 이 지갑의 베타 출시까지의 기간 동안 수 개월에 걸쳐 트리니티 지갑 프로젝트에 대한 감사를 수행하면서 IOTA와 협력했다.

      현재 MIOTA는 781,845,468달러의 시장 한도를 가진 이 우주에서 14번째로 큰 암호화를 쓰고 있다.